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 소개, 출연진, 줄거리, 평점 및 관람평

by 뭐든잇슈어 2025. 10. 23.

전지적독자시점 영화 포스터

1. 영화 소개

2025년 7월 23일에 개봉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은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입니다. 장르는 판타지 및 액션으로, 15세 이상 관람가로 개봉되었습니다. 러닝타임은 약 117분이며, 영화 스토리를 따라가다보면 그리 길지 않은 시간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영화를 연출한 감독 김병우는 2013년 개봉한 더 테러라이브와 PMC:더 벙커 등의 영화를 연출했던 이력이 있으며, 최근 배우 함은정과 결혼소식을 알리며 더 유명해진 감독입니다. 원작과 동명인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작가 싱숑이 2018년부터 2020년에 완결이 되었지만, 최근까지 외전 에피소드를 연재를 해오고 있습니다. 싱숑 작가는 사실 한명의 작가가 아니며, 남편 싱과 아내 숑이 함께 만들어 낸 웹소설이라고 합니다. 영화는 약 300억원대의 제작비와 CG의 힘으로 스펙터클한 장면들이 눈길을 사로잡는데요. 웹소설의 내용과 세계관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117분의 러닝타임 안에서 다 풀어내지 못했다는 다소 아쉬운 평들도 있었습니다. 

2. 출연진

먼저 이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주인공 김독자 역을 배우 안효섭이 맡았습니다. 안효섭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김독자의 내면 갈등과 결단 등을 안정적으로 표현했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유중혁 역할을 맡은 배우 이민호 역시 강렬한 존재감을 나타냈습니다. 거기에 김독자와는 직장 동료인 유상아 역으로 배우 채수빈이 연기했으며, 유중혁과 함께 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현성 역은 신승호 배우가 맡았습니다. 또한 최근 더글로리에서 임지연 남편으로 출연해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쌓은 배우 정성일이 특별출연 하여 인상깊은 역할을 보여주었습니다. 거기에 가수활동을 하다가 배우로 전향한 나나와 블랭핑크로 유명한 가수 지수가 출연하면서, 관객들의 기대감은 더욱 높아지기도 하였습니다. 

3. 줄거리

이 영화는 웹소설인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는 방법"의 유일한 애독자인 주인공 김독자(배우 안효섭)가 마지막 완결의 참담한 엔딩에 탄식하며, 작가에게 이메일을 보내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작가에게 완결을 축하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하지만, 결국 끝은 "이 결말은 최악이다"라는 비난을 남기게 되는데요. 지하철 안에서 이 비난의 이메일을 남긴 후, 갑자기 웹소설 작가에게 이메일의 답장이 왔고, 주인공 독자에게 원하는 결말을 만들어보라는 말을 끝으로 회신은 종료되고 맙니다.

영문도 모른 채 작가의 답장을 지켜보던 중, 열심히 달리던 지하철은 갑자기 동호대교에서 멈추게 되고, 어느새 웹소설의 한 장면이 실제 눈 앞에서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김독자는 갑자기 벌어진 상황에 매우 당황하지만, 이 모든 스토리가 자신이 애독해왔던 소설 중 한 장면임을 알게 되고, 벌어지는 상황들을 능숙하게 해결해 나가기 시작합니다. 웹 소설의 세계관으로 함께 빠져들게 된 사람들은 독자의 예지력 덕분에 살아남게 되고, 그와 함께 웹소설의 스토리를 함께 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입니다.

4. 관람평 및 평점

영화의 실 관람객들의 평점은 약 7.66으로, 남자들은 약 6.61, 여자들은 8.43으로 차이가 굉장히 큰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웹소설의 원작을 본 사람들은 기대 이하라는 평들이 많았고, 원작을 보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영화를 본 관람객들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주었습니다. 원작에 대한 이해나 충분한 고민이 없이 만들어진 영화라 아쉽다는 평들이 많았는데요. 특히나 다양한 액션과 판타지적인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다 보니 CG나 연출이 오글거리고 어색했다는 평들도 있었습니다. 그에 반해 원작을 모르고 봤는데 볼만했다는 평이 있었고, 스토리의 진행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보니 지루할 틈이 없었다는 평들도 있었습니다. 또한 후속작이 기대된다는 평들도 있었는데, 아직까진 후속편의 제작 소식이 나오지 않아 다소 아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스토리가 다소 게임같은 부분이 있다보니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가볍게 볼만한 영화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원작을 보지 않았거나, 원작에 대한 기대 없이 킬링타임용 영화를 찾으신다면 이 영화를 관람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